육군 사단마크(부대마크) 및 위치 역할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볼까 합니다.
▶ 육군은 총 몇개의 사단이 있나요?
총 38개의 사단이 있습니다.
▶ 육군 사단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나요?
현재 38개에서 33개로 점점 줄어듭니다.
과연 어느 사단이 사라지게 될까요?
육군 사단마크(부대마크) 및 위치 역할
여러분은 어느 군대를 나오셨나요? 육해공군중에서 저는 어디일까요? 그렇습니다. 저는 공군출신으로서 개인적으로는 육군 편성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육군에서 말하는 사단 규모를 공군에서는 여단이라 부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공군은 사단이 존재하지 않고 여단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군 규모를 총칭하여 하는 말이지만 사단대비 여단은 턱없이 작은 숫자인건 사실이니까요.
해군은 잘 모르겠지만 제가 전역한 공군은 총 3개의 여단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 대한민국 규모가 약 6만여명뿐이므로 여단이 3개밖에 없는 것도 어느정도 이해는 되겠죠? 하지만 육군은 총 38개의 사단을 가지고 있어 공군과는 상대도 되지 않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규모를 점차 줄인다고 하여 2025년에는 사단이 현재 38개에서 33개로 줄어들게 됩니다. 과연 어떤 사단이 사라지게 될까요?
육군은 예나 지금이나 사단마크를 통해 본인의 소속을 식별했는데 공군도 여단이 아닌 비행단을 포함하면 약 20여개로 꽤나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육군만 다루기로 했으므로 타군은 이야기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제1야전군사령부
육군은 총 3개의 군단 및 야전군을 운용하고 있는데 거기에 해당되는 제1야전군사령부이며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 9개의 사단이 동부전선(최전선)을 지키고 있으며 전쟁이 발발하면 가장 전사확률이 높은 위치 중 하나입니다.
- 2군사령부
2군사령부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후방을 지키고 있는데 7개의 사단이 각각 도시를 지키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 제3야전군사령부
서부전선을 지키고 있으며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가 중간에 있어 일부는 최전방경계를 하거나 일부는 예비군 교육관리 혹은 지역방어를 하는 등 위치가 다르게 정해져 있습니다.
육군 사단마크(부대마크) 및 위치 역할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표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공군출신이라 뭐가 뭔지 눈에 잘 들어오지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