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기한 표시제 유통기한과의 차이
2024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된 소비기한 표시제는 기존의 유통기한 개념에서 소비자가 식품의 안전한 섭취 가능 기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제도입니다. 이 변화는 단순히 표시 방식을 바꾼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식품 폐기물 감소와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사회적 가치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 무엇인지, 유통기한과의 차이점 무엇인지, 그리고 이 제도의 시행 배경과 기대 효과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 무엇인가
소비기한은 식품의 보관 방법을 준수했을 때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이는 식품의 유통기한이 제조일부터 유통·판매가 가능한 기한만을 표시했던 것과 달리,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시점을 알려주는 기준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 기존 유통기한 : 제조일부터 유통·판매 가능한 기한
- 소비기한 : 보관 조건 준수 시 섭취 가능 기한
OECD 회원국의 대부분은 이미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했으며,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발맞춰 제도를 전환했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 배경
1. 식품 폐기물 감소
유통기한은 그 기한이 지나도 섭취가 가능했지만, 폐기 시점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비기한은 이를 명확히 하여 식량 낭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탄소중립 실현
식품 폐기물 감소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직결됩니다. 소비기한 도입으로 식품 폐기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를 촉진합니다.
3. 소비자 안전 강화
소비자는 명확한 섭취 가능 기한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식품을 소비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변화 사항
1. 표시 방식의 전환
기존 유통기한 표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되지만, 우유류 등 일부 품목은 단계적으로 도입됩니다. 예를 들어, 우유류는 냉장 환경 개선 후 2031년 1월 1일부터 소비기한 표시제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2. 소비자 인식 변화
소비기한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는 2022년 34.5%에서 2023년 88.5%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3. 소비기한 전환율 증가
국내 매출 상위 100대 제품의 소비기한 표시율이 2023년 2월 34.8%에서 같은 해 11월 94.2%로 증가했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의 기대 효과
1. 식품 소비 패턴 개선
소비자는 식품의 보관 방법과 소비기한을 확인하는 습관을 갖게 되며, 적정량의 식품 구매와 신속한 섭취로 폐기물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국제적 기준과의 일치
OECD 국가와의 표준화된 제도 적용으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3. 환경적·사회적 가치 실현
지속 가능한 소비를 통해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은 단순히 소비자 편의를 위한 제도를 넘어 환경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제 식품을 구매할 때 소비기한을 확인하고, 보관 방법을 지켜 더욱 안전하고 현명한 소비를 실천해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형 키즈카페 서울시민 아니더라도 이용 가능한 장소? (0) | 2025.02.19 |
---|---|
2025년 을사년 인사말 50가지 (0) | 2025.01.03 |
12간지 순서 시간 연도 유래 확인 (1) | 2024.11.26 |
고속도로 무료 견인 자동차 조건 및 방법 (0) | 2024.11.07 |
제주 면세점 1인 구매 한도 온라인/오프라인 정보 확인 (4)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