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키즈카페 서울시민 아니더라도 이용 가능한 장소?
서울형 키즈카페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형 놀이시설로, 저렴한 이용료와 다양한 놀이시설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민간 키즈카페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일부 조건을 충족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서울 거주자 또는 서울 직장인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서울시민이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는 서울형 키즈카페는 어디일까요?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이유
서울형 키즈카페는 민간 키즈카페 대비 경제적인 비용으로 높은 퀄리티의 놀이시설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저렴한 이용요금 : 2시간 기준 2000원~5000원으로 저렴한 편
- 할인 혜택 : 다둥이카드 소지 시 무료이용 가능
- KT 멤버십 할인 : 이용요금의 20% 할인 적용
이러한 이유로 많은 부모들이 서울형 키즈카페를 선호하지만 이용 조건이 까다로워 서울 시민이 아니라면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조건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하려면 보호자 중 최소 한 명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부모 중 한 명이라도 서울 거주자일 것
- 보호자 중 한 명이라도 서울에 거주지가 있어야 함
- 일부 키즈카페는 서울 소재 직장에 다니는 보호자의 직장인 인증으로 이용 가능
즉, 서울 거주자라면 대부분의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직장인 인증으로 이용 가능한 키즈카페가 소수 존재합니다. 하지만 서울 시민이 아닌 경우 이용할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서울시민이 아니어도 이용 가능한 서울형 키즈카페
서울 시민이 아니더라도 이용할 수 있는 서울형 키즈카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형 키즈카페 시립 옴팡점
- 이용 가능 대상 : 서울 거주 여부 상관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
- 직장인 인증 : 필요 없음
- 특징 : 이용일 28일전에 예약을 해야 하며 주말 현장예약 필요
2. 서울형 키즈카페 동작구 대방동점
- 이용 가능 대상 : 서울 시민이 아니어도 서울 직장인 인증 가능 시 이용 가능
- 직장인 인증 여부 : 유선상으로는 직장인 인증이 필요하다고 안내받았으나, 실제 방문 시 인증 절차가 진행되지 않음
3. 어린이대공원 팔각당 키즈카페
- 이용 가능 대상 : 서울 거주 여부 상관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
- 직장인 인증 : 필요 없음
- 특징 : 어린이대공원 내부에 있어, 나들이와 함께 즐기기에 최적
서울형 키즈카페는 서울 시민을 위한 공공시설이지만, 일부 지점에서는 서울 시민이 아니더라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립 옴팡점, 동작구 대방동점, 어린이대공원 팔각당 키즈카페는 서울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입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울형 키즈카페는 서울 거주자 또는 서울 직장인 인증이 필요하므로, 방문 전 사전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4월부터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대상 확대
서울시는 시민들의 생활 속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4월부터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변경 전 (현재 기준)
- 서울 시민이거나, 서울 시민과 동반해야 이용 가능
- 일부 키즈카페는 서울 소재 직장인 인증 시 이용 가능
변경 후 (4월부터 적용 예정)
- 서울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도 이용 가능
- 서울 시민이 아니더라도 서울 직장인이라면 자녀와 함께 이용 가능
즉, 서울에서 거주하지 않아도 서울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앞으로 서울형 키즈카페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서울 시민을 위한 공공 놀이시설이지만, 일부 지점에서는 서울 시민이 아니더라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시립 옴팡점, 동작구 대방동점, 어린이대공원 팔각당 키즈카페는 서울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방문할 수 있어 많은 부모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오는 4월부터 서울형 키즈카페 이용 대상이 '서울에서 근무하는 직장인'까지 확대되므로, 서울에서 일하는 보호자라면 앞으로 더욱 편리하게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형 키즈카페를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과 새로운 정책 변화를 확인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즐거운 놀이공간을 제공해 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을사년 인사말 50가지 (0) | 2025.01.03 |
---|---|
소비기한 표시제 유통기한과의 차이 (0) | 2024.12.16 |
12간지 순서 시간 연도 유래 확인 (1) | 2024.11.26 |
고속도로 무료 견인 자동차 조건 및 방법 (0) | 2024.11.07 |
제주 면세점 1인 구매 한도 온라인/오프라인 정보 확인 (4)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