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군복무기간 3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다음엔 어디로 갈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군복무 단축은 과연 어디까지 이루어질까요?
개인적으로는 1년까지 진행하되 모병제까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 현재 군복무기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아직도 과하며 1년까지는 줄여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군 복무기간은 어디까지 줄어들게 될까요?
역대 군복무기간 3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다음엔 어디로
저는 지금으로부터 약 14년전 04군번으로 공군을 입대하여 약 2년8개월가량의 군생활을 마친 후 전역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군복무를 할 당시만해도 군대 복무기간 단축이 이루어지고 있던 터라 약 3주간의 군복무 기간이 줄어들어 정확하게는 2년 3개월 10일의 군생활을 한 뒤 전역하게 된 케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어떤가요? 제가 전역한지 10년이 넘게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군복무기간은 크게 낮아지지 않았습니다. 본인의 다른 군(육군,해군)보다 조금 더 군생활을 진행하는 만큼 10년동안 3개월가량 군복무기간 단축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그렇게 크게 와닿지 않았는데 육군 기준으로 2020년 18개월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볼때 왜 이렇게 배가아프죠?
현재 육군 기준 2020년 18개월 복무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해군과 공군 특성상 각각 2개월,3개월의 복무를 더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워르이 숫자가 나오는데 이것 도한 언젠간 육군과 좁혀질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예전에 있었던 휴가기간이 많지만 복무기간이 길다고 하여 기피했던 공군해군이 지금도 마찬가지가 될 확률이 적지 않게 있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군복무기간 단축은 어디까지?
사실 현대전은 예전과는 다르게 머리수로 채워지는 전쟁이 아닙니다. 진지점령을 위해서라면 모르겠지만 이라크와 같이 일부 내전국이 아닌 이상 진지점령을 할 상황도 오지 않으며 굳이 많은 병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데 이에따라 군복무단축은 물론 일반 사병 급여도 물가에 맞춰 덩달아 오르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쟁물자가 부족한 북한군이나 예전의 병력수준을 유지할 뿐이죠.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군복무기간 단축은 지금도 부족하다고 느껴지며 최대 1년정도까지는 내려가야 한다고 보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물론 그렇게 되면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는 군대가 아닌 병영캠프라는 말이 나돌 정도가 더욱 거세지겠지만 그렇게 생각할 수 없는 것이 이것은 본인에게 보상이 존재하지 않지만 남이 편해지면 괜스레 불편해지는 심적 보상심리 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군복무를 2년4개월가량 하고 나왔다 해도 10년전 그리고 20년전의 사람들은 본인을 보고 똑같은 말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조건적인 보상심리를 가지기 보다는 현대전의 의미를 생각하여 군병력을 차차 줄여나가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너무 성급한 생각일 수도 있는 것이 현재 출산율은 1.05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현재 태어나는 남자아이들이 성인이 될때쯤이면 자연스럽게 군대인력이 줄어들게 될텐데 너무 빠른 선택이 아닌가 싶기도 하죠.
역대 군복무기간 3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다음엔 어디로 갈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군복무기간이 육군기준 1년까지 내려가는 기간은 과연 언제일까요? 아마도 2050년쯤은 되야 가능할 것 같은데 말이죠.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도날 분리수거 방법 버리기 애매한 것들 어떻게 (0) | 2018.11.09 |
---|---|
하이패스 무단통과 미납요금 납부 방법 알아보기 (0) | 2018.09.05 |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 및 조회 해보기 (0) | 2018.08.13 |
여권 만료일 조회 쉽게 가능합니다 (0) | 2018.08.08 |
롤 셧다운제 시간 몇시부터 몇시일까 (0) | 2018.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