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보통 및 2종보통에서 사용하는 스틱 운전법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요즘도 스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나요?
장시간 운전시 피곤하기 때문에 스틱을 운전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 스틱 면허는 왜 취득하는건가요?
화물차 및 대형차량을 운전하기 위해 취득합니다.
대형차량을 운전할 예정이 아니라면 스틱은 굳이 필요없을 듯 합니다.
1종보통 및 2종보통에서 사용하는 스틱 운전법
여러분들은 무슨 운전면허증을 취득하였나요? 저는 혹시나 모를 수동기어가 장착된 자동차를 운전할까 싶어 1종보통 수동면허를 취득했는데요 지금은 아니지만 몇년전 회사에 있는 구형 스틱 차량을 몰아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바쁘기도 했고 시간도 없는데다가 오토차량이 모두 사용중인 상태다보니 어쩔 수 없이 수동변속기어가 달린 스틱 차량을 몰아보았습니다.
당시 면허를 취득하고 스틱 차량을 실제로 몰아본 적이 없다보니 그다지 먼 거리는 아니었지만 가는데 고생좀 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해당 차량을 운전하다가 이직을 하고는 또 다시 몇년간 스틱 차량은 운전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한동안 스틱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겠죠?
- 스틱 운전법 오토바이와 같은가?
일반적으로 1종보통 또는 2종보통 운전면허를 취득할 경우 125cc 이하 기어가 존재하는 수동 오토바이의 면허(원동기 면허)를 면제해주기 때문에 자동차는 따로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오토바이를 운전하려는 사람들도 1종보통 혹은 2종보통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법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는게 오토바이와 스틱 운전의 차이는 이론만 같을 뿐 완전하게 운전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둘을 분리해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스틱 차량 운전 방법
수동변속기어 자동차는 오토 자동차와는 다르게 클러치가 존재하여 이를 통해 기어를 변속합니다. 앞으로 갈때는 기어를 변속할때 발을 살살 뗌과 동시에 액셀을 밟아 차가 앞으로 움직이게 해야 하며 차가 어느정도 움직일 경우 클러치에서 완전히 발을 뗌으로서 속력을 내며 운전이 가능합니다.
기어를 1단에서 2단으로 올리거나 변속을 요구할때는 자동차가 움직이는 동안 액셀에서 발을 떼고 클러치를 밟은 뒤 재빠르게 기어를 아래 혹은 위로 올린 뒤 다시 클러치에서 발을떼고 액셀을 밟는 식으로 운전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멈출때도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차가 완전히 멈추기 전에 클러치를 밟아야 멈추게 됩니다. 그리고 기어를 가운데 중립으로 놓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것이죠.
- 스틱 차량에서 가장 어려운 운전은?
스틱 운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오르막길을 올라가다 중간에 서다 다시 올라가는 상황인데요 이때는 브레이크를 밟고 클러치를 반정도 떼면 앞으로 차가 슬금슬금 가는데 동시에 액셀을 밟아줘야 하다보니 난이도가 조금 어려운 축에 속합니다. 일명 반클러치라고 부르는데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시동이 꺼져버리는 상황이 일어나며 클러치를 반만 밟고 액셀을 밟아 앞으로 나아가야 하다보니 초보운전자들은 이 구간에서 시동이 자주 꺼지곤 합니다.
1종보통 및 2종보통에서 쓰는 스틱 운전법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이 내용은 글로 보는것 보다는 유튜브와 같은 영상매체를 통해 보는 것이 더 이해가 빠를거라 생각합니다.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맛의 비밀, 마이야르 반응 Maillard reaction 알아보기 (0) | 2020.09.14 |
---|---|
폰팔이 욕 먹는 이유(월급 및 수입 구조 수법 사기 등) (1) | 2020.07.22 |
여자가 비아그라를 먹으면 남성처럼 흥분할까? (1) | 2019.06.04 |
상호명으로 사업자등록번호 과연 찾기(조회)가 가능할까 (0) | 2019.02.12 |
사기계좌번호 조회 및 신고 방법 (0) | 2018.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