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등반시 발견한 국가지점번호 활용 및 검색 방법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 합니다.
▶ 국가지점번호는 어디에 활용되나요?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국가지점번호만 알면 119가 금방 찾아올 수 있을까요?
아마 그렇지 않을까요?
이 글은 여러가지 정보를 종합하여 제작한 생활정보 글입니다.
한라산 등반시 발견한 국가지점번호 활용 및 검색 방법
제주도 여행을 하게 되면 몇가지 해야 할 필수 관광지 혹은 코스가 있는데 이 중 하나가 바로 한라산 등산입니다. 등산을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나름 고역일 수도 있지만 제주도 여행을 와서 한라산을 안올라갔다 오는 것은 제주도를 안갔다왔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겨질 수 있기에 10여년전 대학시절 제주도 여행에서도 한라산 등산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번에도 시간을 내어 한라산을 올라가보기로 했는데 예전처럼 힘이 펄펄 넘치는 것도 아니다보니 올라가는 길이 쉽지는 않았기에 어느정도 올라갔다가 산중턱에 있는 평야지대까지는 가보진 못하고 하산하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국가지점번호가 보이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국가지점번호는 무엇인가요?
국가지점번호는 주소를 표기할 수 없는 지역에 특정 글씨와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를 표시한 제도로서 예전에는 소방서,해양경찰,국립공원 등 각 기관에서 표시를 했었는데 그렇다보니 정형화된 표시가 아닌 중구난방 표시인데다가 실제 해당 지점과 지도상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다보니 다 갈아엎고(?) 위치 표기방식을 통일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국가 지점번호는 다나 06668503인데 이건 대체 어떻게 읽는걸까요? 사실 이 부분은 정의에 대한 부분은 있지만 굳이 일반인이 알 필요는 없습니다. 위키백과에서 안내해주고 있는 국가지점번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국을 100km × 100km 격자로 나눈 뒤, UTM-K원점에서 남쪽 700km, 서쪽 300km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그 기준점에서부터 각 격자마다 서에서 동으로, 남에서 북으로 각각 가나다순으로 한글 문자를 부여한다. 그 다음, 그 한 격자의 가로와 세로를, 길이가 각각 10미터 단위로 10,000개로 나눈 지점을 기본단위로 하여 숫자를 부여한다. 이때 부여되는 숫자는 4자리로 표시하며, 이 경우 각 정수가 4자리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4자리가 될 때까지 그 앞에 "0"을 삽입한다. 지점번호 중 앞에 표시된 4자리 숫자가 동쪽 거리를 나타내는 숫자이고 뒤의 4자리 숫자가 북쪽 거리를 나타낸다.'
국가지점번호가 존재하는 목적은 단 한가지인데 등산객의 구조요청을 위해 만들어진 이유가 99%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지점번호 밑에는 별도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번호와 신고전화가 별도로 적혀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가지점번호 지도서비스
mapview.paas.lx.or.kr
국가지점번호 홈페이지를 가보면 이런식으로 가로세로 100km 구간마다 글자가 작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로명표기법에 의해 제작되었다고는 하는데 그림을 보시면 제주도의 한라산이라면 100% 다나에 해당되는 구역이라고 할 수 있겠죠?
최대한 확대를 해보면 본인이 위치한 지역의 번호를 찾아 해당 위치에서 찍은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지점번호와는 별도의 위치번호가 존재하는데 굳이 여기까지 하는 사람들은 아마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한라산 등반시 발견한 국가지점번호 활용 및 검색 방법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정보가 충분히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지점번호를 통해 뭔가 할 일은 아마 적을 거 같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식 용어 중 조의금 부의금 부조금 어느것이 맞는말(뜻 의미) (0) | 2020.12.23 |
---|---|
공무원 간호사 타투(문신) 논란 및 대한민국의 타투 인식은 (1) | 2020.12.22 |
로또 온라인 판매(구매) 및 1등 복권 당첨시 어떻게 표시 될까 (0) | 2020.12.10 |
GS편의점 택배 사업자전환 신청 후 요금 할인받기 (0) | 2020.09.09 |
상가집 다녀온 후 소금 뿌려아 할까 소금이 없을때는 어떻게 (0) | 202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