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용어 중 조의금 부의금 부조금 어느것이 맞는말인지 그 뜻과 의미를 알아볼까 합니다.
▶ 장례식장에서 세가지 용어 중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3가지 모두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 어떤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나요?
조의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결과는 검색량에 따른 결과이므로 실제 사용량과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장례식 용어 중 조의금 부의금 부조금 어느것이 맞는말(뜻 의미)
사람은 평생 살 수 없으며 흔히들 100세 시대라고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100세를 온전하게 살지 못하고 80대정도만 되도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병/노환 등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례가 가장 많은데 얼마나 사느냐 보다는 남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고 조금이라도 더 사는 것이 모두를 위한 길이겠죠?
얼마전에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후 생활치료센터에 일주일정도 입소한 뒤 회복하여 퇴소를 했습니다. 부모님의 코로나 확진으로 인해 저 역시 양성판정을 받은건데 가족 모임에 있던 사람들 중 제 와이프를 제외하고 모두가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 그중 나이가 많은 할머니는 코로나로 인해 돌아가셨는데 아마 뉴스에 한줄기사로 나왔겠죠? 그래서 돈을 입금받기 위한 용어로 무엇을 사용할까 하다가 궁금해서 한번 찾아봤습니다.
- 조의금 / 부의금 / 부조금 맞는 말은?
정상적으로 사회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은 한달에 경조사비로 약 16만원을 지출한다고 하는데요 저 역시 이번달 경조사비로 15만원을 지출했습니다. 할머니와 지인 부모님의 사망으로 인해 경조사비 지출이 있었는데 한머니측에는 10만원을 지인 부모님 측에는 5만원을 지출했습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3가지는 과연 어느것이 많이 쓰이며 맞는 말은 무엇일까요?
◎ 조의금
다른 사람의 사망을 슬퍼하는 의미로 내는 돈을 말합니다.
◎ 부의금
다른집에서 사람이 사망했을때 그 비용을 도와주기 위해 내는 돈을 말합니다.
◎ 부조금
잔칫집 혹은 상가(喪家)에 돈을 보내 도와주는 돈을 말합니다.
세가지 용어를 볼때 모두 틀린말은 아니지만 굳이 정답을 찾자면 조의금/부의금이 정답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해당 두가지 용어는 죽음과 관계되어 사용하는 용어이며 부조금은 좋은일과 슬픈일 두가지를 합쳐 부르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 조의금 / 부의금 / 부조금 무엇이 더 많이 사용되나요?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빅데이터 기반이라든지 뭔가 결과가 있어야 하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키워드 검색결과와 구글 트렌드를 활용해 체크해봤습니다.
우선 네이버 키워드 검색결과인데요 조의금 60,400건 / 부의금 47,270건 / 부조금 44,590건으로 검색(한달기준)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구글 트렌드는 수치가 아닌 그래프로 볼 수 있는데 12개월 기준으로 조의금 > 부의금 = 부조금 정도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결국 네이버나 구글이나 조의금이 가장 많은 검색결과를 가지고 있고 부의금과 부조금이 엎치락 뒤치락 하는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장례식 용어 중 조의금 부의금 부조금 어느것이 맞는말인지 뜻과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세가지 다 맞지만 가능하면 조의금 혹은 부의금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분증 사본 앞면 뿐만 아니라 뒷면도 요구하는 이유 (0) | 2020.12.29 |
---|---|
중학교 및 고등학교 무단결과 대학입시 및 대기업 지원 영향 여부 (2) | 2020.12.28 |
공무원 간호사 타투(문신) 논란 및 대한민국의 타투 인식은 (1) | 2020.12.22 |
한라산 등반시 발견한 국가지점번호 활용 및 검색 방법 (0) | 2020.12.18 |
로또 온라인 판매(구매) 및 1등 복권 당첨시 어떻게 표시 될까 (0) | 2020.12.10 |